안녕하세요!
예술로 탐구생활의 뉴스레터를 열어주셔서 감사해요!
어느덧 2024년 예술로 탐구생활의 마지막 뉴스레터 시간이 되었습니다!
뉴스레터 5호에서는 올해 사업의 결과와 더불어,
2021년 9월 예술로 탐구생활의 첫 출발부터 2024년 마무리까지
4년간의 예술로 탐구생활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아참, 그거 아세요?
✨4년간 총 693개의 프로젝트가 탄생✨했다는 사실?!
693개의 빛이 탄생할 수 있도록 열정적으로 참여해주신 모든 선생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예술로 탐구생활의 여정은 여기서 끝이 아닌, 또 다른 좋은 기회로 뵙길 기대하며
그럼 모두들 함께 마지막 뉴스레터를 보러 가실까요?
* 본 뉴스레터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늘봄창의센터에서 제작되었습니다. |
|
|
💡 예탐이의 뉴스레터 5줄 요약
- 지금까지 예탐이의 여정이 담긴 아르떼 365 기고글 모음집 대-방출!
- 올해 콘텐츠로 업데이트된 예탐 홍보채널, 궁금하지 않으세요?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권역별 운영기관의 발자취를 공유드립니다.
- 예탐의 4개년 만족도 조사 통계를 한눈에 보여드려요!
- 4년간의 다양한 시선을 모은 <예술로 세상을 탐구하는 693가지 시선> 신간 출시 예정 임박! |
|
|
* 위 사진을 클릭하시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 다양한 콘텐츠를 한 눈에?
홍보채널이 업데이트되었어요!
여러분! 모여보세요!
홍보채널이 업데이트 되었다구요!👥👥 |
주제 선정부터 협력과정, 운영까지의 과정 중심으로의 참여그룹 수기글과 커리큘럼이 담긴 키워드 중심 콘텐츠, 총 25건의 콘텐츠가 담긴 예탐 홍보채널이 업데이트를 완료하였답니다!
들어가면 눈도 내린답니다(속닥속닥)
[예탐 PICK]-[추천콘텐츠] / [키워드 중심 콘텐츠] |
|
|
👣지난 4년간 진흥원의 발자취,
올해 운영기관의 발자취가
궁금하지 않으세요?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권역별 운영기관이 각각 유의미한 성과를 돌아보는 결과 공유 워크숍을 추진하였는데요!
궁금하다면 아래를 확인해주세요~! |
|
|
2024 예술로 탐구생활 운영기관 대상 결과 워크숍 <예술로 탐구생활, 그리고 더 나아가기>
운영기관 대상 결과 워크숍은 11월 11일(목)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었습니다!
한 해 동안 사업 운영을 위해 열심히 달려와주신 운영기관 담당자분들과 3~4년차 지속적으로 참여해주신 참여그룹 3팀, 그리고 진흥원 담당자들이 모여 예술로 탐구생활을 장기적으로 참여, 운영함에 따라 성장한 사례 공유를 통해 상호적으로 이해하고 발전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
|
|
운영기관에서도 한 해 혹은 다년간 참여그룹을 지원하며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추진해왔는지, 그리고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공유해주셨는데요!
학교 문화예술교육 가치를 재발견하는 시간이었고, 다양한 인적 인프라와 교육 사례들을 통해 네트워크 및 데이터를 축적 및 확보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하네요! |
3년 혹은 4년간 예술로 탐구생활에 참여한 참여그룹 3팀에서도 따끈한 사례를 발표해주셨답니다!
예술로 탐구생활은 예술가와 교사가 지속적으로 협력하면서 예술가와 교사의 교육적 지향점을 균형있게 맞춰가는 과정이었고, 참여한 교사와 예술가 모두에게 질문을 던지고 스스로 고민하는 시간이었다고 하네요! |
|
|
학생 후기 중에 멋진 말도 있었답니다.
👨🎓: 나는 예술을 배운 것이 아니고 예술이 나를 가르쳤어요. 그리고 나도 쓸모가 많은 구석이 있네요🤗 |
|
|
💬 예탐이의 말말말
🧚♀️ 4년간 예탐이와 함께한 시간과 그 누적 결과, 궁금하지 않으세요?
바로 오른쪽에 그 결과를 공유해드릴게요!👉👉 |
💡 프로젝트 수: 693개
👩🎨 참여 예술가 수 1,641명
👨🏫 참여 교사 수 1,014명
👨🎓 참여 학생 수 42,156명
⏲️ 프로젝트 운영 시수 20,011시간 |
|
|
예탐이가 느끼는 예술로 탐구생활은 장르가 곧 정체성인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주제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로 변화되는 과정이었던 것이 첫 번째 성과라고 생각해요.
두 번째는 교사와 예술가가 서로의 전문성을 존중하며 학생들의 삶을 함께 고민하고 프로젝트를 개발, 운영하는 팀워크가 형성되었다는 점이구요!
마지막으로 교사와 예술가가 함께한 프로젝트가 다른 재원과 시간을 활용하여 자발적으로 더욱 발전하고 운영하는 생각의 전환 계기가 마련되었다는 점이 아닐까 싶어요! |
|
|
2024 예술로 탐구생활 1권역 결과공유회
<우리의 담담한 걸음을 함께 보고, 듣고, 말하기>
- 12.14.(토) / 헤이그라운드 서울숲점
1권역 결과 공유회는 한 해 동안의 종합 보고를 시작으로 참여그룹 3팀의 사례 발제,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외부 전문가 2인의 발제가 진행되었구요.
2부에서는 5명의 발제자와 1인의 모더레이터와 함께 '예탐 안에서 혹은 넘어서 보고, 듣고, 말하기' 종합토론이 진행되었답니다. |
2024 예술로 탐구생활 2권역 통합 결과공유회
- 12.26.(목) / 꿈꾸는씨어터 공연장
2권역은 오프닝으로 전반적인 사업 운영 결과 공유 및 참여그룹 2팀의 사례 발표가 진행되었구요. 이어 학교 융복합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외부 전문가인 수석교사와 운영기관 담당자의 발제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된 결과공유회에는 대면 참석자 외에도 먼길에서 결과를 함께 지켜봐주신 비대면 참여자분들도 많았다고 합니다! |
|
|
2024 예술로 탐구생활 3권역 결과공유회(광주)
- 12.12.(목) / 광주CGI센터
이 날은 광주지역 참여그룹 6팀이 모두 참석해주셨구요! 6팀 프로젝트 사례 공유와 함께 사업 참여 전문가인 김지훈 교수님의 피드백 시간으로 마무리되었답니다.
* 3권역 결과공유회는 지역별 3회로 나눠 추진되었어요.
12.10.(전북) / 12.11.(전남,제주) / 12.12.(광주) |
2024 예술로 탐구생활 4권역 결과공유회
<우리의 담담한 걸음을 함께 보고, 듣고, 말하기>
- 12.19.(목) / 온라인(zoom)
4권역은 사업 운영 결과 및 외부 전문가와 교사, 예술가 총 4인의 학교 문화예술교육 발제에 이어,
2부에서는 예술로 탐구생활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참여자 간 논의와 참여그룹 4팀의 사례 발표로 마무리되었어요! |
|
|
💬 예탐이의 말말말
🧚♀️: 4년간 참여하며 가장 뜻깊은 순간은 바로 이럴때 아닌가 싶어요😎
현장 모니터링을 다니며 참여그룹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 결과공유회를 통해 그 여정을 듣다보면 참여그룹들은 모두 매 순간 예탐에 진심이었어요.(진심은 통한다!)
학교 현장에서 예술가-교사의 협력을 통해 서로 다른 시선을 공유하고 확장하여 만들어낸 시너지가 학생들에게 고스란히 전해진 것 같구요. 학생들도 그 기운을 받아 온전히 예술에 집중하여 자기만의 시도와 고민으로 내적 성장을 이루었던 시간들이었다고 생각해요.🧡
덕분에 예탐이도 마음이 따뜻하고 몽글몽글해지는 시간들이었습니다. 모두들 정말 감사합니다!🙏 |
|
|
* 2024년 만족도 조사는 현재 진행 중으로,
2025년 1월 말 아르떼 라이브러리에서 최종 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
4개년 만족도 조사 결과 어떻게 보셨나요?
예술로 탐구생활이 시작된 2021년부터 현재까지 참여그룹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 또한 많이 높아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요! (처음부터 높은 점수 였다는건 안비밀이예요 :D)
해가 거듭될 수록 우리 모두 예술로 탐구생활에 흠뻑 빠져들었다는 얘기겠죠?🤗 |
|
|
📖4년 간의 다양한 시선을
담았습니다
<예술로 세상을 탐구하는
693가지 시선> |
2021년부터 2024년까지 학생들이 예술가의 시각으로 세상을 더 넓고 더 깊게 바라볼 수 있도록 교사와 예술가가 함께 치열하게 고민한 시간 그리고 이야기를 담은,
예술로 탐구생활 온라인 자료집 <예술로 세상을 탐구하는 693가지 시선> 을 발간합니다! |
|
|
지금까지 혹시 마음 속에 품고 있었지만 예탐이에게 하지 못했던 이야기가 혹시 있다면
아래의 버튼을 통해 전달해주시면 어떨까요?
예탐이가 좋았던 점 혹은 아쉬운 점, 예탐을 통해 발전했던 나의 경험 등 모두 모두 공유해주세요.
앞으로 우리가 다시 만나게 되는 그 날을 위한 소중한 밑거름이 될 거라고 생각해요!🤩 |
|
|
🗓️ 2024년 예술로 탐구생활 마지막 뉴스레터를 마무리하며.. |
|
|
예술교육의 성과는 당장 눈에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이 추후 자신을 찾기 위한 삶의 방향성을 확립해갈 즈음,
함께했던 693개의 작은 선물들이 전구처럼 환한 빛을 발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24년 예술로 탐구생활의 뉴스레터를 마치며,
🐍2025년 청사의 해🐍에도 좋은 일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홍보채널에는 프로젝트 우수사례, 참여자 수기 글, 홍보영상 등 다양한 아카이브가 있습니다.)
전국 4개의 권역별 운영기관과 함께합니다.
- 1권역(서울/인천/경기): ABC LAB / 경인교육대학교
- 2권역(경상권): 꿈꾸는 씨어터(주) / 문아트컴퍼니(주)
- 3권역(전라권/제주):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 4권역(충청권/강원): 강릉문화원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jj_project@arte.or.kr (03926)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76(상암동, YTN뉴스퀘어) 11층
|
|
|
|
|